[뉴스프리즘] 코로나 뉴노멀 시대가 가져온 변화는?<br /><br />코로나19는 우리 사회 전체에 엄청난 변화를 가져왔습니다.<br /><br />코로나 이전과 이후로 나눠질 정도로 우리 사회 전체의 모습을 바꿔놓았는데요.<br /><br />이번주 뉴스프리즘에서는 '코로나 뉴노멀' 시대가 가져온 우리 사회 전체의 모습과 직격탄을 맞은 경제 회복을 위한 노력, 정치권의 분위기 등을 짚어봅니다.<br /><br />▶ "21시 코로나 통금"…'비대면' 일상시대<br /><br />서울 강남의 회사 밀집 지역 인근 식당가입니다.<br /><br />평소라면 회식 등으로 시끌벅적한 곳이지만 밤 9시 이후 식당내 영업이 금지되면서 요즘은 한산한 모습입니다.<br /><br />저녁 식사 약속 등으로 많은 사람들이 찾던 강남 삼성동의 한 한우 식당.<br /><br />저녁 9시 '코로나 통금' 시간이 되자 손님들은 빠져나가고 영업은 종료됩니다.<br /><br /> "아쉽죠. 예전 같으면 2차도 가고 노래방도 가고 했잖아요. 지금은 못하잖아요. 집사람은 좋아할지 모르겠지만 가야지 어떡하겠습니까."<br /><br />대신 식당 입구에는 포장과 배달이 가능하다는 문구가 붙었습니다.<br /><br />피크 시간대 영업 금지로 매출 손실 만회를 위해 보통 한우 식당과 달리 언택트 영업을 시작한 겁니다.<br /><br />코로나 여파로 집에서 만남을 가지는 사람들이 늘면서 점주들도 영업 방식 변화에 나섰습니다.<br /><br /> "포장지도 더 고급으로 신경쓰고 쓰고요. 손님들이 댁에서 드셔도 더 맛있게 드실 수 있도록 고기도 그렇고 서비스도 그렇고 더 신경쓰고 있습니다."<br /><br />대형마트도 상황이 달라진 건 마찬가지입니다.<br /><br />앱 등 온라인으로 주문과 배송까지 가능한 추석 선물상품 홍보 안내문들이 곳곳에 붙었습니다.<br /><br />손님들도 언택트 방식으로 마음을 전하기 위한 준비에 여념이 없습니다.<br /><br /> "아무래도 올해는 안 만나는 쪽으로 해보려고요. 만나면 코로나나 이런게 걱정이 되니까 가급적이면 좀 비대면으로 하자 이거죠."<br /><br />특히 코로나로 서로의 안부를 묻는 경우가 늘면서 익숙한 명절 상품 대신 소독제 같은 건강상품이 배치됐습니다.<br /><br /> "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건강식품 선물세트 매출이 큰 폭으로 증가했고 마스크와 손소독제가 필수품이 되면서 위생용품 선물세트를 처음으로 출시했습니다."<br /><br />코로나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저녁시간부터 명절 준비 분위기까지 우리 일상이 변해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경목입니다. (mok@yna.co.kr)<br /><br />▶내년 예산 일자리·K방역 방점…코로나 극복 총력<br /><br />서울 한 거리.<br /><br />코로나19 영향으로 상권은 활기를 잃고 상점의 매출은 뚝 떨어졌습니다.<br /><br />인건비 부담이라도 덜기 위해선 직원을 줄이는 수밖에 없습니다.<br /><br /> "(직원이) 절반 정도? 5명 정도 일했는데 지금은 3명…"<br /><br />코로나19에 흔들리는 건 비단 소상공인 뿐만이 아닙니다.<br /><br />실적 부진 등으로 기업들도 직원을 줄일 수밖에 없는 상황에 놓여있습니다.<br /><br />실제 대한상공회의소에 따르면 국내기업 301개 가운데 40.5%가 코로나19 영향으로 감원이 필요하다고 인식했고, 실제 9%는 직원을 줄였습니다.<br /><br /> "코로나19로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제조업 포함하면 빠른 속도로 일자리가 감소될 것으로 예상되고요."<br /><br />내년도 예산안의 방점은 우선 고용 충격에서 벗어나는 데 찍혀있습니다.<br /><br /> "200만 개 이상의 일자리를 지키고 만들어 내는 것은 물론 민간소비 및 투자, 수출, 지역경제 활성화 등 전방위적인 경기 지원예산을 확실히 담고자 하였습니다."<br /><br />우선 고용시장 유지와 신규 창출에 8.6조원의 예산이 투입됩니다.<br /><br />고용유지지원금과 추가고용장려금 등으로 일자리 200만개 이상을 유지하고 창출한다는 게 목표입니다.<br /><br />사회적 거리두기 영향으로 악화된 내수 살리기에도 힘을 쏟습니다.<br /><br />민간 소비를 늘리기 위해 여행과 관광 등의 업종에 각종 쿠폰과 바우처를 통해 5천억원 뿌릴 예정입니다.<br /><br />이와 더불어 올해 추석을 전후 해서는 2차 긴급재난지원금을 지급하는 방안도 사실상 확정된 상태입니다.<br /><br />전국민이 대상이었던 1차 때와는 달리 코로나19로 피해를 입은 자영업자 등에게 선별적으로 지원하는 것으로 가닥이 잡혔습니다.<br /><br />한편, 내년 방역에 대한 투자도 대폭 늘립니다.<br /><br />우선, 당장 시급한 코로나19 백신과 치료제 개발에는 1,300억원이 넘는 예산을 투입합니다.<br /><br />호흡기 전담 클리닉도 2배로 늘리고, 감염병 전문병원 3곳을 착공하는 등 공공의료 인프라 확충에도 나섭니다.<br /><br />이와 함께 마스크 등 K방역 제품의 수출을 지원하고 타국에 대한 보건 공적개발원조에도 박차를 가한다는 방침입니다.<br /><br />이같은 예산 편성이 내년 코로나 극복과 경기 반등을 이끌 수 있을 지 주목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소재형입니다. (sojay@yna.co.kr)<br /><br />▶ 국회도 초비상…정기국회도 '코로나 모드'<br /><br />국회 모든 회의실에 설치된 투명 칸막이, 마스크와 체온 측정은 필수. 코로나19는 국회 풍경을 뒤바꾸었습니다.<br /><br />더불어민주당 취재기자와 국민의힘 당직자 확진에 국회는 더욱 긴장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만약 국회에서 문제가 생겨서 입법부 기능이 작동하지 않으면 국가적인 문제가 되지요."<br /><br />21대 정기국회 화두는 단연 코로나19 극복입니다.<br /><br />코로나19 사태 지원책을 입법으로 뒷받침하고, 비대면 국회 논의도 이뤄질 예정입니다.<br /><br /> "코로나19 관련 법안과 민생법안 집중처리를 제안합니다. 원격화상회의 등 비대면 의정활동이 가능한 의정환경도 조속히 구축하겠습니다."<br /><br />이미 정당들은 큰 일정은 비대면으로 소화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문제는 국회 표결입니다.<br /><br />현행 국회법은 현장 표결이 원칙이기에 원격 투표를 하려면 국회법을 개정해야 합니다.<br /><br />국회법에 따르면 표결은 재적의원 과반수의 출석과 출석의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의결합니다.<br /><br />표결을 할 때 회의장에 없는 의원은 표결에 참여할 수 없습니다.<br /><br />다가오는 국정감사 준비도 시급합니다. 국정감사에는 매년 700개가 넘는 기관이 감사를 받습니다.<br /><br />증인까지 포함하면 국정감사 기간에 국회를 오가는 사...